최근 단기자금시장 발작 가능성이 의심되는 징조가 나타나 정리해 보았다.단기자금시장 발작 징조?지난달 여러 매체를 통해 공유된 중소기업중앙회 성상현 과장의 9, 10월 시장 전망에서 시장 발작 가능성을 미리 진단해 보는 지표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미국 지급준비금-GDP 비율미국 SOFR(미국채 담보 대출 금리)-IORB(지준부리 금리) 스프레드미국 EFFR(연방 기금 실효 금리: 은행 간 무담보 대출 금리)-IORB 스프레드미국 GDP 규모 대비 지급준비금의 비율이 11% 이하로 내려가면 미국의 유동성 수준은 더 이상 긴축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 그리고 이 기간에 SOFR-IORB 스프레드나 EFFR-IORB 스프레드가 0% 이상으로 올라가면 단기자금시장의 대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지난 2024년 9월 25일 삼프로 TV에서 공유된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김영익 교수의 4분기 시장 전망을 정리해 보았다.4분기 시장 전망 요약9월 주식 시장의 조정은 매수의 기회다. 이후 12월까지 상승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하지만 내년 상반기부터는 경기 상황을 반영해 조정을 보일 것이다. 그러므로 단기적인 관점으로 9월에 씨를 뿌리고 12월에 수확하면 괜찮으리라 생각한다. 씨를 뿌릴 곳은 미장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국장이 좋다.당장 경기 침체가 찾아오지는 않겠지만 내년 상반기에는 경기 침체 구간으로 들어갈 것이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지 오래되면서 이번에는 다른 것이 아니냐 의견들이 있었지만 이번에도 경기 침체를 피해 갈 수는 없을 것이다.현재 채권 금리가 단기 바닥을 찍고 반등하고 있다...
교보증권 박병창 이사가 2024년 9월 13일, 삼프로TV 채널의 마켓 인사이드 코너에서 장단기 금리차와 경기 침체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 그 논리 중 미처 상상하지 못한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 그의 생각을 정리해 둔다.장단기 금리차장단기 금리차는 장기물 국채와 단기물 국채의 수익률 차이를 가리키는 말이며, 역사적으로 장기채 수익률이 단기채 수익률 보다 낮아 마이너스가 되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거나, 이후 정상화 과정에서 높은 확률로 경기 침체가 뒤따라오면서 경기 침체를 예견하는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다음 링크는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정리한 글이다.장단기 금리차 (Yield Curve Spread)현시점 장단기 금리차에 대한 박병창 이사의 생각최근 시장에서는 일부 기대 미달의 매크로 지표..
지난 2024년 9월 6일 인포맥스 라이브에서 공유된 중소기업중앙회 성상현 과장의 9월, 10월 시장 전망을 정리해 보았다.9, 10월 시장 전망 요약코로나라는 특수한 시기로 인해 매크로 지표가 뒤틀렸으므로 현재 발표되고 있는 매크로 지표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시장을 오판할 가능성이 높다. 올해 연말 정도가 되면 뒤틀린 매크로 지표들이 정상화될 것이며, 그전까지는 매크로 보다 미국 재무부가 유동성을 어떻게 관리하는지가 더 중요하다.유동성 관점으로 판단했을 때 9월에는 하락, 10월부터 다시 상승한다는 것이 베이스 시나리오다. 이러한 전망을 이해하려면 먼저 미 재무부가 2022년 하반기부터 어떤 방식으로 국채를 발행해왔는지 알아야 한다.미 재무부의 국채 발행 전략일반적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진 국채 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